PhoenixFD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샘플파일에 대해 알아본다.
\Documents\Phoenix FD\samples 에서 bicolor.max 파일을 열어보자.
바로 시뮬레이션을 시작 해보자. 아래와 같은 결과를 볼 수 있다.
Rendering 의 Colorsand transparency를 눌러보자.
이 샘플의 포인트는 유체의 온도에 따라 다른 색을 표현할 수 있다~ 라는 것이다.
Emission을 보면 Color 부분에 붉은색과 푸른색의 그라이데이션으로 색상이 지정되어 있는데, 랜더링을 해보면 아래와 같은 색상으로 보여진다.
이 샘플에서는 불투명도(Opacity)는 연기(Smok)에 의해서 결정되고 방출(Emission)은 온도(Temperature)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불꽃 상단부분의 연기농도와 유체는 아래쪽 보다 낮은 온도를 가지고 있고그 결과 다른 색상을 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로서 위쪽 Color를 보면 낮은 온도쪽의 색상인 붉은색은 위쪽에 높은 온도의 색상으로 지정된 푸른색은 중간부터 아래쪽으로 표현되는것이 보인다.)
샘플에 적용된 Transparency의 그래프는 평등하고 일정한 곡선을 이루고 있어서 자연 스러운 결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그래프를 움직여보면 다른 불투명값이 적용되어 색상이 표현되는 위치가 달라지는것을 볼 수 있다.
\Documents\Phoenix FD\samples 에서 bicolor.max 파일을 열어보자.
바로 시뮬레이션을 시작 해보자. 아래와 같은 결과를 볼 수 있다.
이 샘플의 포인트는 유체의 온도에 따라 다른 색을 표현할 수 있다~ 라는 것이다.
Emission을 보면 Color 부분에 붉은색과 푸른색의 그라이데이션으로 색상이 지정되어 있는데, 랜더링을 해보면 아래와 같은 색상으로 보여진다.
특정온도에서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것이다.
아래 그래프까지 연결해서 보면 1500 ~ 2000 이라는 수치가 보이는데 이것이 온도값이다.
이 온도 일때 이런 색상을 표현해라~ 라는 의미로 보면 될듯. 예를 들어 아래처럼 색상을 바꿔보면 다른 랜더링 결과값을 볼 수 있다.
랜더링 옵션은 시뮬레이션이 끝난후에도 수치 조절로 여러가지 결과를 볼 수 있으므로 부담없이 많은 테스트를 해보자.
추가적으로 그래프의 핸들을 조절해서 밝기를 변경해 볼 수도 있다. 지금은 20000 언저리에 위치 하고 있지만
100000 근처까지 그래프를 움직여 봤더니 이렇게나 밝아졌다.
일반적으로 불꽃 상단부분의 연기농도와 유체는 아래쪽 보다 낮은 온도를 가지고 있고그 결과 다른 색상을 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로서 위쪽 Color를 보면 낮은 온도쪽의 색상인 붉은색은 위쪽에 높은 온도의 색상으로 지정된 푸른색은 중간부터 아래쪽으로 표현되는것이 보인다.)
샘플에 적용된 Transparency의 그래프는 평등하고 일정한 곡선을 이루고 있어서 자연 스러운 결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그래프를 움직여보면 다른 불투명값이 적용되어 색상이 표현되는 위치가 달라지는것을 볼 수 있다.
'VFX Tutorial > PhoenixFD' 카테고리의 다른 글
2d [PhoenixFD Sample Test.01] (0) | 2011.07.20 |
---|---|
PhoenixFD 세부옵션 매뉴얼 .02 (0) | 2011.07.20 |
PhoenixFD 세부옵션 매뉴얼 .01 (0) | 2011.07.15 |
PhoenixFD 기본 사용법 - 불을 붙여보자! (0) | 2011.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