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시는 2010년 말에 되었지만 아직 사용하는 유저층이 많지는 않은듯 합니다.
튜토리얼도 별로 구하기 힘들고 그래서 직접 사용해보면서 매뉴얼을 나름 작성해봤습니다.
카오스그룹 PhoenixFD 포럼의 영문메뉴얼을 참고하고 직접 사용해보면서 느낀 노하우(?)들을 적었습니다.
간단히 사용해본 느낌은 fumeFX + 리얼플로우 라는 느낌~
특히 그리드 기반의 시뮬레이터라서 fumeFX 유저들은 좀더 손쉽게 사용할수 있을듯 합니다.
설치법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을 안하겠습니다. 3dmax 버전에 맞게 설치 하면 되겠습니다.
Tip.카오스그룹의 V-ray가 설치되어있지 않으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V-ray가 안깔려있을경우에는 설치를 했는데 메뉴조차 안보이더군요.)
위치는 Create/ Geometry/ PhoenixFD 를 누르면 오른쪽 그림과 같은 메뉴가 나옵니다.
PHXSimulator 로 그리드를 생성합니다.
버튼을 누르면 수치를 적용하는 칸이 나오는데 일단은 무시하고 뷰포트에 적당히 드래그해서 박스를 만들때처럼 적당한 곳에 위치 시킵니다.
|
Create/ Helpers /PhoenixFD 를 누르면 메뉴가 보인다. |
Step. 04 불 붙일 준비물!
|
Grid를 눌러 Cell size를 적당히 수정해준다. 불기둥이 살짝 올라갈거기 때문에 직사각형으로 길죽하게 만들어 보았다. 그리고 불이 붙을 오브젝트를 하나 만든다. (임의로 Torus01를 하나 만들었다.) 오브젝트를 그리드 안에 위치 시킨다. 드럼통모양의 Source를 선택해 다른 옵션은 놔두고 맨아래쪽 Add 버튼을 눌러 불이 붙을 Torus01을 등록시킨다. 기본 준비는 끝~ |
Step. 05 불을 붙여보자!
PhoenixFD01를 눌러서 Simulation 옵션의 Start를 눌러준다. 시뮬레이션이 진행되는게 보일것이다.
중간에 잠시 멈추려면 Pause.
시뮬레이션을 종료하려면 Stop.
Stop 하게 되면 다시 Start를 실행했을때 처음부터 다시 실행되게 된다.
자세한 옵션설명은 따로 다루도록 하겠다. 일단은 기본적인 사용법이니까 Start로 시뮬레이션을 해보기만 한다.
시뮬레이션이 다된후에 랜더링을 걸어보면 대략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번 내용은 아주 기초중의 기초!
기본적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정도만 보여주는 목적이다. 세부 옵션수치를 변경해보고 스크립트를 사용하는등 으로 다양한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다.
created by. karaeff
'VFX Tutorial > PhoenixFD'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 Color [PhoenixFD Sample Test.02] (0) | 2011.07.27 |
---|---|
2d [PhoenixFD Sample Test.01] (0) | 2011.07.20 |
PhoenixFD 세부옵션 매뉴얼 .02 (0) | 2011.07.20 |
PhoenixFD 세부옵션 매뉴얼 .01 (0) | 2011.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