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FX-KARA
KARA FX HOUSE
VFX-KARA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FX HOUSE (106)
    • My Effects Work (20)
    • My 2D/3D Work (18)
    • My VFX RND (12)
    • Programming (1)
      • Unity c# (1)
      • Python (0)
      • JAVA (0)
    • VFX Tutorial (16)
      • PhoenixFD (5)
      • FumeFX (1)
      • Etc. Plug-in (2)
      • Etc. Max-Script (2)
      • Particle Illusion (6)
    • Game Engine (23)
      • Unity (21)
      • Gamebryo (2)
    • 컴터지식IN (7)
    • 나의 일상 (4)
    • 연습장 (5)
    • Ect (0)
      • 휴지통 (0)

블로그 메뉴

  • Home
  • Tag
  • MediaLog
  • LocationLog
  • Guestbook
  • Admin
  • Write

공지사항

  • VFX카라 [블로그 공지]

인기 글

태그

  • kaboom
  • Singleton pattern
  • 인피니티
  • 마르코
  • 열혈고교
  • PhoenixFD
  • 이펙트
  • 열혈돗지볼
  • FUME FX
  • 유니티
  • 싱글톤 패턴
  • 3D
  • C#
  • 잉키
  • Unity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VFX-KARA

KARA FX HOUSE

PhoenixFD 세부옵션 매뉴얼 .02
VFX Tutorial/PhoenixFD

PhoenixFD 세부옵션 매뉴얼 .02

2011. 7. 20. 15:02
피닉스FD 기왕 파는거 구석구석 파보자는 생각에 추가 매뉴얼을 작성 해봅니다.

매뉴얼 .01 에서 기본적인 시뮬레이션 노드의 세부 옵션등을 다루었다면 .02 에서는 추가적인 확장기능들에 대해서 다뤄볼 예정입니다. 추가기능을 확인할때마다 업데이트 시키고 있으니 때때로 다시 와보면 뭔가 바뀌어 있을지도 모르겠군요.

참고로 시작은 이렇게 정중한 문체를 사용하지만 매뉴얼 내용중에는 반말로 바뀌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의 글쓰기 습관이랄까... 어쨋튼 막 써나갈때는 그게 편하기도 하고, 그런부분은 그냥 웃으면서 넘어가 주시길^^


PhoenixFD GPU Preview

시뮬레이션을 연산하고 매번 랜더링 해서 보는게 귀찮았다면 이 기능을 사용해 보자.

PhoenixFD는 뷰포트에서 실시간 미리보기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기능의 사용방법은 Viewport의 왼쪽상단의 정보표시가 된곳에서 [마우스 우클릭] 하면 나오는 메뉴에서 Extended -> PhoenixFD GPU Preview 를 선택해주면 된다.

그러면 해당 viewport는 아래와 같은 모습으로 바뀌고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실시간 미리보기가 만능은 아니다. 기본적인 시뮬레이션 노드의 결과값을 보여줄뿐이다. 변위와 텍스쳐 채널은 지원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불꽃의 시뮬레이션 확인에 많은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된다.







PhoenicFD Particle Texture

PhoenicFD가 설치되면 자동으로 재질 편집기(Material Editor)에 추가되는 PhoenicFD전용 Material 이다. 위치는 당연히 재질 편집기에서 찾으면 된다.

Source particle systems
Add /Remove : 리스트에 텍스쳐의 소스로 사용될 파티클시스템을 (포함/제외) 시킨다.

Blend alpha : 선택하면 샘플 하위의 map와 알파를 혼합한다. 해제하면 1로 설정된다.
Particle scale affects the radius : 입자의 규모가 하위 map의 샘플링에 영향을 미친다.

Blending Method : 블랜딩 방법을 결정.
- Equal : 평등. 모든 입자는 최종결과에 동일한 기여를 한다.
- Proportional : 비례. 각 입자는 현재 거리의 종형곡선에 따라 기여한다.
- Biggest : 가장 큰. 입자는 최종결과에 가장큰 기여를 한것으로.

Map : 입자에 연결된 Map. 각 입자의 기여는 종형곡선의 색상. 아무것도 지정되지 않은 경우(None일 경우)에는 '흰색'이 사용된다.

Radius : 종형 곡선(bell curve) 의 반경.

Amplitude : 종형 곡선(bell curve) 의 진폭.

Shift mode : 이동모드. 체크하면 알고리즘의 계산을 변경한다. 입자의 결과값은 색상에 기여하지않고 샘플링의 좌표에 기여한다.
(Checking this option changes the calculation algorithm. The particles do not contribute to the result color, instead they contribute to the coordinates of sampling. The texture just returns the color of the sub map in a point calculated by shifting the sampling point with some offset determined by the particles. This mode has no effect if no sub map is specified. )


Coordinates
 는 일반적인 material의 기능과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PhoenicFD Texmap

역시 재질 편집기에서 찾을 수 있다. 이것은 텍스쳐로 선택된 Phoenix 객체의 채널을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것을 사용함으로서 모든 일반적인 volumetric shader와 내용을 변화시킬수(감출수) 있다.

Source node : Phoenic 객체를 선택한다.

Channel : 내보낼 채널 지정.
- Emissive color
- Diffuse color
- Alpha
- Velocity
- UVW

Tiling mode : Box 바깥에서 어떻게 샘플링을 진행할지 결정한다.
- Single
- Wrap
- Mirror

Skip the fine displacement : 미세 변위를 무시한다. 체크하면 내용은 미세범위 없이 샘플링한다.

Coordinates 는 일반적인 material의 기능과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PhoenixFD Turbulence

너무 정직한 움직임의 불꽃이나 연기는 좀 어색하다. 그래서 이걸로 PhoenixFD에 난기류를 추가할 수 있다.
크게 두가지 종류의 난기류를 생성가능하다.

1. 자유로운 힘 발산.
2. 입력에 따라.

난기류는 3dmax의 노이즈의 표현과 비슷하다. Fractal 함수 등에 따라 수치가 변화된다.

위치는 Create -> Helpers -> PHXTurbulence 

버튼을 누르고 뷰포트에 생성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요상한 모양의 Helper객체가 생겨난다.




Inject mode : 강제 입력 모드

Size : 일반 규모의 배율.
Fractal depth : 프렉탈의 깊이. 단계의 수. (실제의 숫자는 이 변수의 +1 이다.)
Last stage scale :  마지막 단계의 규모. (첫단꼐의 규모는 1, 중간단계 1~ 이곳의 지정변수)
Last stage amp. : 마지막 단계의 진폭. (첫단꼐의 규모는 1, 중간단계 1~ 이곳의 지정변수)
Random seed : 임의 발생형태의 초기값. (3dmax의 noise에 있는 옵션과 같은 기능)
Speed : 변화 속도.
Multipler : 진폭의 배율.

Decay : 부식(or 붕괴), 거리에 따라 감소하는 방법 결정.
- None : 없음 (기본)
- Inv distance : 안보이는 거리만큼. (반전 거리로 감소한다.)
- Inv square : 거리의 역제곱과 함께 감소한다.
- Sphere : 구의 형태. 반경 1과 구체의 영역 바깥쪽에서는 부식이 안일어남. *반경1은 크기(size)와 같은 단위로 변화.

Preview - Drag particle : 체크하면 여러가지 입자의 궤도를 시각화하여 Preview에 보여준다.



Phoenix Force

PF Source에서 사용할 수 있는 Particl View를 열면 보이는 메뉴에서 찾을 수 있다. 이것은 유체(Fluid)의 움직임에 입자(Particle)의 참여를 제어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속도채널(Velocity)이 사용되고 있어야 적용 된다.

Phoenix node : None 의 슬롯에 사용할 PhoenixFD의 시뮬레이션 노드를 지정해준다.

Influence : 유체의 입자량(힘). 100의 수치는 100% 입자가 정확하게 유체에 적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Ignore play speed : 재생속도 무시. 노드의 재생속도를 무시한다.
Affect orientation : 입자는 유체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한다.

Time soerce : animatable 매개변수에 전달되는 시간의 인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지정.
- Absolute :
- Partiicle age :
- Event duration :




Phoenix Test

역시 Particl View를 열면 보이는 메뉴에서 찾을 수 있다. 이것은 입자(particle)의 위치에 있는 액체(Fluid)를 확인하고 선택된 채널의 임계값보다 낮으면 다른 이벤트로 입자를 리디렉션 한다.

Phoenix node : None 의 슬롯에 사용할 PhoenixFD의 시뮬레이션 노드를 지정해준다.

Source channel : 사용될 소스 채널을 지정한다. (Temperature, Smok, Speed ,Fuel)

Level : 임계값을 지정 한다.

Variation : 임계값의 변화 수준 지정.
True if below : 동작을 반전 시킨다.



스크립트와 연동

상세내용: http://www.spot3d.com/phoenix/maxscr.htm

스크립트에 대한 내용은 공식 온라인메뉴얼을 참고로 직접 작성해보면서 업데이트 해야할듯 합니다.




created by. karaeff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VFX Tutorial > PhoenixFD'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 Color [PhoenixFD Sample Test.02]  (0) 2011.07.27
2d [PhoenixFD Sample Test.01]  (0) 2011.07.20
PhoenixFD 세부옵션 매뉴얼 .01  (0) 2011.07.15
PhoenixFD 기본 사용법 - 불을 붙여보자!  (0) 2011.07.14
    'VFX Tutorial/PhoenixFD' 카테고리의 다른 글
    • BI Color [PhoenixFD Sample Test.02]
    • 2d [PhoenixFD Sample Test.01]
    • PhoenixFD 세부옵션 매뉴얼 .01
    • PhoenixFD 기본 사용법 - 불을 붙여보자!
    VFX-KARA
    VFX-KARA
    Effect 디자이너 KARA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