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터지식IN

디자이너들을 위한 Adobe Affiliate Program 에 참여 해볼까요

VFX-KARA 2016. 12. 30. 11:51


직업이 게임 그래픽이다보니 Adobe 제품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번에 Adobe Affiliate Program 이 새로 시작되었다는군요. 저도 한번 참여해봤습니다.


기본적인 개념은 어도비 제품 광고를 통한 수익분배.


예전에 다른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구글 애스X스를 사용해봤는데 방식이 비슷한 부분이 많이 그리 어렵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아쉬운건 아직 웹사이트에서 한국어는 지원하지 않는다는거... 


하지만 무슨 이상한 광고문구가 나올지도 몰라서 개인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배너를 달기 꺼려했던 사람들, 특히 디자이너 계통의 사람들에게는 부담없이 배너를 달고 약간의 수입도 생길 수 있으니 일석이조라고 생각되네요.


관심있는 사람들을 위해 Adobe Affiliate Program 를 어떻게 참여하고 배너를 설치하는지 차근차근 설명해보려 합니다.




신청하기 버튼을 누르면 신청페이지로 새창이 뜰겁니다. 헷갈려서 헤맬것 같으면 이 포스팅 보고 따라서 신청해보면 될거에요~


어도비 웹사이트로 이동해서 신청하기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뜰겁니다. 이제부터 영어의 압박이네요...

쉽고 무료로 가입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해놨군요.



기본적으로 접속국가에 맞춰서 나라는 설정되어 있으니 그대로 놔두고, 사용언어는 현재 영어와 일본어 두개만 지원되는 것 같습니다. (한국어 지못미 ㅠㅠ)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일테니 Type 역시 그대로 놔두고, 이름과 성을 써줍니다. (영어로 써야겠죠!?) 


이메일을 써주고 확인용 이메일을 한번 더 적어줍니다.

Username 는 접속아이디 정도로 보면 됩니다. 나중에 관리 페이지에 접속할 때 Username 와 Password를 사용하거든요.

패스워드 역시 적어주고 당신의 웹사이트(or 블로그) 주소를 적어줍니다. control code는 자동가입방지 같네요. 오른쪽에 있는 영문과 숫자를 그대로 적어줍니다.


아래 약관관련 라디오박스에 체크를 해주고 Create account를 눌러주면 끝!!


제대로 가입이 되었다면 이런 화면이 뜰겁니다.

기입한 이메일로 뭔가를 보냈다고 하니 메일에 접속해서 확인해 보면 됩니다. Adobe에서 받은 메일을 보면 무슨 링크같은게 있는데 그걸 눌러서 다시 접속해 봅니다. 일반적으로 본인확인 용도로 확인 메일을 보내는 경우니까 스팸같은걸 의심할 필요는 없을 것 같네요.



최초 접속한 모습이네요.

그래프 같은것도 보이고 이런저런 설정창들이 있습니다. 가입만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은 상태라서 깨끗하네요.


일단 Account를 눌러서 계좌개설부터 해볼게요.

수익을 받을 은행계좌가 등록되어야 나중에 돈을 받을 수 있으니까요.




자신의 계좌정보를 잘 기입해줍니다. 틀리면 나중에 지급거절이 될 수 있으니 제대로 잘 적어주세요.

은행코드 등은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은행명만 잘보고 눌러주면 틀리는 일은 없을거에요.



개인정보도 업데이트 해줍니다.


빨간색 글씨로 Not Verified 라고 써있는 부분은 아직 정상적으로 승인이 되지 않았다는 문구입니다. 계좌정보와 개인정보 업데이트를 하고 기다리면 승인으로 바뀔테니 조금 여유를 가지세요.



자, 이제 본격적으로 승인을 받고 활동해볼까요.


승인이 되기 전이라면 메인페이지 상단에 승인을 받으라는 창이 떠있을 거에요. 그곳 링크를 눌러서 들어가보면 승인을 받기위한 방법이 설명되어 있는데 두가지 방법이 있네요.


한가지는 자신의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코드를 직접넣어서 승인받는 방법.

두번째는 html 파일을 만들어서 승인받는 방법.


저는 설치형 블로그인 티스토리를 사용하고 있으니 간편하게 첫번째 방법으로 시도를 해봤습니다.

티스토리 관리페이지로 들어와서 Html 코드를 넣는 창을 열어주고 Option1 에 있는 코드를 복사해서 맨위에 있는 <HEAD>에 붙여 넣어준 후 저장합니다. 


그리고 얼마간 기다리면 승인이 되어서 빨간색 글씨가 Verified 로 바뀌어 있을겁니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배너 등을 달고 수익을 창출해 봐야겠죠?



관리페이지 메인화면에서 Ad Management 를 눌러서 Search Ads를 눌러봤습니다.

여러가지 배너형식과 텍스트 링크를 선택할 수 있네요.


다행히 배너와 텍스트는 한국어도 지원이 되요.

한국 블로그인데 영어광고만 나온다면 난감할텐데 다행입니다.



어라?!


근데 배너를 넣으려면 소스코드가 보여져야 하는데 아직 소스코드 링크가 활성화되지 않았네요.

왜 안되지!? 하고 막 살펴보기 시작했습니다.


맨 오른쪽에 보면 Website status 가 Under Consideration 으로 써있는 것이 보일거에요.

기본적인 승인과정과는 별개로 배너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또다른 승인절차가 남았나 보군요. 하지만 더이상 무언가를 해줄것은 없습니다. 그저 기다릴뿐...


짧게는 몇시간에서 1~2일 정도가 소요될 수 있는 것 같네요.

실제 어도비 직원이 나의 웹사이트(블로그)를 살펴보고 정상적 블로그인지 판단해서 승인을 넣어준다고 하네요.


저 같은 경우는 하루정도 기다리다 보니 메일이 와있었어요.

역시 메일에 온 링크를 눌러서 접속을 해보니 이제 상태가 Accepted 로 바뀌어 있고 배너 소스코드가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블로그의 관리페이지로 들어가서 html 편집화면에다 소스코드를 붙여넣어줍니다.

적당한 위치에 넣어주는게 좋겠죠.

저는 메뉴들 뜨는 위치에 넣어주었습니다.


메뉴위치를 찾기 어렵다면 <무슨무슨 모듈> 이라는 항목 근처에 붙여넣어보면서 확인해보세요.

블로그 관리 부분까지는 자세한 설명을 드리기 힘들겠네요. 하지만 개인 블로그 운영자라면 이정도는 가볍게 할 수 있을 거에요.


길다란 배너 두개를 넣어봤네요.

예쁘게 잘 들어갔어요~~



하루정도 지나서 어도비 관리페이지로 접속해봤습니다.

이제 그래프도 뭔가 올라가있고 이런저런 카운팅 수치도 바뀌어 있네요.


다 영어로 되어 있지만 모르면 검색창에 검색해보면 단어뜻은 알 수 있으니까요.

노출 숫자, 클릭숫자, 판매 숫자 등등 정보들이 보입니다.

아무래도 판매로 이어지면 더 큰 수익을 줄것같죠?


<아래 내용은 더 상세한 광고보고서 설명입니다>

광고 보고서 이 보고서는 각 광고의 성과 정보를 제공합니다. 효과적이지 않은 광고는 반드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이 보고서에는 한 프로그램의 모든 트래픽을 총계로 표시하고 각 광고의 트래픽에 대한 자세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노출 수(Impressions) 및 순 노출 수(Unique impressions) : 광고가 생성하는 노출 수/순 노출 수입니다. 순 노출 수는 사전 정의된 기간 동안 방문자가 브라우저를 통해 전송한 페이지 요청 수입니다.

 • 클릭 수(Clicks) 및 클릭스루 비율(CTR: Click rough Rate) : 생성된 클릭 수 및 클릭스루 비율 수로서, 이 비율이 높을수록 광고 성과가 좋습니다.

 • 순 방문자 수(UV: Unique Visitors) 및 순 방문자 비율(UVR: Unique Visitor rate) : 생성된 UV 및 UVR의 수입니다.

 • 리드(Leads) : 생성된 리드 수이며 리드 및 LR(리드 비율)의 총액입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광고 성과가 좋습니다.

 • 주문 금액(Order value) : 광고를 통해 창출된 결제 금액입니다.

 • 수수료(Commission) : 광고에서 창출된 수수료입니다.

 • 핵심 측정 지표 : eCPM(노출 1,000회당 소득)은 노출 1,000회당 획득한 수수료 금액, eCPC(클릭 1회당 소득)는 광고 클릭 1회당 창출되는 매출액을 나타냅니다.



앞으로 얼마나 수익을 창출해낼지는 알 수 없지만 디자이너 관련된 제휴 프로그램이라 부담없이 활용해보면 작은 용돈이라도 되지 않을까요? 그래프가 쭉쭉 올라가길 기대해보며 체험기를 마쳐볼까합니다.


나중에 한달정도 후에 지표를 다시 올려봐야겠네요.


설명이 이해하기 쉽게 잘 되었는지 모르겠어요.

봐도 모르겠다. 헷갈린다 하는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질문해주셔도 괜찮아요~


특히, 디자이너 블로거라면,

Adobe Affiliate Program 에 참여해 보시길 원츄~!